중국의 이커머스 업체 알리와 테무. <br /> <br />싼 가격을 무기로 소비자들을 공략하면서 국내에서 그야말로 무서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월만 해도 우리나라 소비자가 사용하는 쇼핑앱은 1위에서 5위까지 모두 국내 업체였지만, <br /> <br />1년 2개월 만에 국내 업체를 밀어내고 알리가 2위, 테무가 3위로 올라섰다가 최근 조금 주춤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[이기윤/ 서울 신길동 : 3개 상품을 1,500원 주고 샀는데 아마 국내에서 구매했으면은 한 10배 정도 더 비싸게 샀을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[차정환/ 충남 세종시 : 1만 5천 원짜리 샀다가 이게 두 개가 너무 품질이 안 좋아서 그래서 2만 원짜리를 샀는데도 똑같더라고요.] <br /> <br />저도 직접 이 가방을 6천 원 주고 구매해서 받아 봤습니다. 물론 저렴하긴 하지만 광고에 나온 제품과는 차이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제품 안전성 등의 문제로 이용자가 조금 줄긴 했지만 추세만 보면 성장 속도는 가파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3.3조 원으로 2022년보다 두 배 넘게 오르며 미국을 제쳤습니다. <br /> <br />C-커머스는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알리 익스프레스는 빠른 국내 배송을 위해 1조 5천억 원을 투자해 물류센터를 만들기로 했고, <br /> <br />한국 상품 판매 채널인 케이 베뉴 입점 업체의 수수료 면제 정책도 9월까지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테무 역시 글로벌 시장에 2조 원이 넘는 금액을 쏟아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통가는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업계 1위 쿠팡은 C-커머스에 대응하겠다며 22조 원 투자를 발표했지만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가 과징금을 부과한 이후 투자가 어려울 수 있다고 밝히고 행정소송 결과를 기다리는 상태. <br /> <br />신세계와 CJ는 이른바 '사촌 동맹'을 맺고 유통과 물류 전방위 협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소기업들의 피해도 현실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판매 목적이 아닐 때 150달러 이하만 직구가 가능한데 <br /> <br />업자들이 여러 계정을 이용하는 편법 등을 통해 저가의 중국 제품을 직구로 들여와 국산 제품을 밀어내고 있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송공석 / 와토스코리아 회장 : 원래는 이제 B2B 쪽에서는 이제 직구가 안 되죠. 여러 사람 이름을 동원해서 구매를 해가지고 자기들이 쓸 만큼 하다 보니까 우리한테 주문을 끊고 중국산을 사용하는… 내가 51년째 지금 사업을 하고 있는데 작년에 50년 만에 연간 영업손실을 기록했고요.] <br /> <br />실제로 중소기업 열 곳 중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70211145326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